웹페이지 운영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웹 마스터 도구의 인상 깊은 강점들

공무원 봉급 2022. 3. 10. 23:07

최근에 본 블로그와 GitHub Pages 블로그를 새로 생성했습니다. 나름 SW 개발자임에도 불구하고 검색 엔진으로 구글, 네이버, 다움 정도에만 사이트를 등록하고 노출시키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블로그 트래픽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Bing'과 'zum' 등의 검색 엔진으로부터 유입되는 트래픽도 제법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실 각종 검색 엔진들은 더 많은 양질의 자료들을 색인화하기 위해서 열일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양질의 콘텐츠들은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각종 포털에서 자동으로 검색되게 됩니다. 즉,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면 알아서 각종 포털에서 검색되게 되는 것이지요. 이를 막기 위해서는 robots.txt 파일을 통해서 특정 크롤러의 크롤링을 제한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겠지요. 더 많은 트래픽은 더 많은 광고 수익을 의미하니까요.

 

본 페이지에서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검색 엔진인 Bing에 블로그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양질의 글이라면 Bing에서도 기똥차게 알아내서 색인화 되겠지만 그래도 명시적으로 추가해주면 제 글들이 더 빨리 더 많이 검색 엔진에 반영이 되겠지요?

 

 

검색 엔진으로서의 빙(Bing)

 

빙(Bing)이라는 검색 엔진은 어감이 좀 좋지 않긴 합니다만, 의외로 MS의 검색 엔진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OS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우리나라에 인터넷에 보급되기 시작한 그 순간부터 '웹 브라우저 = 인터넷 익스플로러'라는 등호가 성립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구글의 크롬(Chrome)이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되어왔던 웹 브라우저였는데, 검색 엔진으로써의 구글과 인터넷 브라우저로서의 크롬이 결합되면서 지금은 예전만큼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아무튼, 세계 1위 검색 엔진인 구글과 2위 검색 엔진인 빙(Bing)은 특이하게도 독자적인 웹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네이버 역시도 독자적인 브라우저를 제공하지만 생각보다 점유율이 높지 않은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검색 엔진을 많이 사용하므로 한글을 사용한 콘텐츠를 주로 생산한다면 구글, 네이버, 다음 등에 사이트를 우선적으로 등록시키는 것이 좋은 전략이겠습니다만, 빙(Bing)은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이므로 빙 검색 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도 조금이라도 트래픽을 더 높이기 위한 방안이 되겠습니다.

 

실제로 빙의 웹 마스터 도구를 사용해보니 놀라울 정도로 잘 만들어져 있어서 역시 MS에서 만든 것은 다르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놀라운 빙(Bing)의 웹 마스터 도구

 

처음에는 큰 기대 없이 그저 블로그 유입을 더 늘리기 위해서 빙 웹마스터 도구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실제로 사용해보니 아래와 같은 점이 아주 인상 깊었습니다.

 

  1. 빙 웹 마스터 도구는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된 사이트를 한 방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빙 웹 마스터 도구는 구글 서치 콘솔보다 훨씬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3. 빙 웹 마스터는 Clarity라는 사용자 행동 분석 도구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빙의 웹 마스터 도구를 사용해봤더니 왜 MS의 빙이 구글과 경쟁하는 세계 2위의 검색엔진인지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사용 방법

 

1. 빙 웹마스터 도구 접속

 

그럼 지금부터 빙 웹마스터 도구를 경험해볼 시간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웹 마스터 도구를 실행해줍니다. 혹시라도 웹 브라우저로 Firefox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로그인 화면에서 먹통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구글이나 다른 웹 브라우저로 다시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bing.com/webmasters/about?mkt=ko-kr 

 

Bing 웹 마스터 도구

 

www.bing.com

 

2. 로그인합니다.

 

서두에도 말씀드린 것처럼, Bing은 MS의 검색엔진입니다. 혹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있다면 바로 로그인하면 되고, 없다면 새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꼭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더라도 구글 계정으로도 로그인이 가능하지만 가급적이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생성하시길 바랍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시점에 브라우저가 먹통이 된다면 다른 웹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재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3. 구글 서치 콘솔 데이터 한 방에 가져오기

 

빙 웹 마스터 도구의 강점은 구글 서치 콘솔의 데이터를 한 번에 가져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한 사이트들을 하나씩 등록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필자의 경우는 5개의 사이트를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했는데, 한 번에 가져올 수 있어서 정말 편리했습니다.

 

 

4. 각종 도구 이용

 

빙 웹 마스터 도구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거의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외에도 구글 서치 콘솔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다른 도구들도 지원하는데, 특별히 Clarity라는 사용자 행동 분석 도구가 아주 인상적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구글 서치 콘솔에서는 제대로 등록되지 않아서 애를 먹었던 사이트맵 등록도 빙 웹 마스터 도구에서는 한 방에 처리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모든 도구들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이상입니다.